실체현미경 사용법
현미경은 정밀한 광학기기 이므로 사용방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사용방법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경우 시료 또는 대물렌즈를 상하게 하기때문이다. 현미경은 크게 현미경 몸체, 접안렌즈, 대물렌즈, 스테이지, 조명 장치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시료가 놓여져 있는 Stage를 대물렌즈로 부터 멀리 놓이게 한다.
이는 현미경을 다루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실수로 고배율로 대물렌즈를 회전시켜도 시료와 부딪혀서 생기는 렌즈나 시료의 손상을 방지 하게 된다. 옆에서 스테이지위의 시료를 쳐다보면서 스테이지를 이동시키며 시료와 대물렌즈의 위치가 직선상이 되도록 조정한다
2. 대물렌즈를 선택한다.
현미경은 낮은배율에서 높은 배율로 옮겨 가면서 관찰을 하는것이 기본이다. 저배율에서 관찰을 하면서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의위치를 확인하고 배율을 조금씩 높인다.
3. 접안렌즈를 선택한다.
현미경의 배율은 접안렌즈와 대물렌즈의 배율을 곱한것이므로 (예: 대안렌즈 20배, 대물렌즈 10배일경우 총 200배가 된다)적당한 접안렌즈를 선택하여 접안렌즈부에 꽂는다. 관찰자의 양안시력에 맞게 접안렌즈 초점을 조절하여 쌍안렌즈에서 하나의 상이 맺히도록 조절한다.
4. 밝기를 조절한다.
MZ7.5의 경우 별도의 조명장치가 함께 있으므로 조명장치의 튜브를 조절하여 시료부근에 위치하고 조명장치 다이얼을 돌려서 조명 밝기를 조절한다.
5. 관찰한다
쌍안 현미경은 두눈을 이용해서 물체를 관찰하고 모니터가 설치된 경우에는 모니터를 통해서 본다.
카메라튜브를 이용하여 관찰된 상을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다.
대략적인 초점은 조동나사를 이용하여 맞추며 세밀한 초점을 맞출 때에는 미동나사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주의 사항
대물렌즈의 촛점이 맞지 않은 상태에서 대물렌즈를 고배율로 돌리면 대물렌즈가 스테이지에 부딪칠 염려가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가령 WD (작동거리:Working Distance)가 긴 대물렌즈의 경우 큰 상관이 없으나 WD가 짧은 대물렌즈의 경우 부딪힐 가능성이 아주 높으므로 초보자가 현미경을 다룰때 가장 조심해야 하는 부분이다. 렌즈는 대게 코팅막이 씌워져 있으므로 코팅막이 벗겨질 경우 렌즈의 성능이 급속히 나빠지며 상도 뚜렷하게 관찰할수 없다.
*촛점을 맞추기 힘들때 간단하게 맞추는 방법
초보자의 경우 저배율에서 스테이지를 위아래로 아무리 움직여도 촛점을 맞추기 힘들때가 있는데 이때에는 가장 배율이 높은 대물렌즈를 시료와 가장 가깝게 놓고 다시 저배율의 대물렌즈로 돌려놓는다. 그다음 스테이지를 조금씩 내려가면서 시료를 찾아가면 쉽게 찾을수 있다.
현미경 규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