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열기 과열에 의한 출화와 감식요령
전열기는 전류의 발열작용을 이용한 것으로 고온의 발열체를 가지고 있어서 출화위험도 다른 전기기기에 비교하여 높다. 그래서 시판 전열기는 출화를 막기 위해 본체의 내열성은 물론 주변의 열영향도 될 수 있는 한 적게 받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기기의 불량 또는 취급 불량 등에 의해 전열기로부터 출화는 전기화재 중에서도 많아지고 있다. 또한, 전열기에 의한 화재는 복사열에 의한 출화, 가연물의 접촉 착화 등 전기화재라고 하기보다는 일반화기에 의한 화재에 가깝다.
(1) 열 평형 전열기의 설계 및 제조에는 발열과 방열(전도, 대류)의 밸런스를 생각하고 정상적인 사용조건으로는 기기 및 주변의 온도가 어떤 온도 이상으로 안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예상 밖의 조건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고장 등의 경우에는 이 평형이 무너져 과열상태가 되어 출화하게 된다. 열평형이 무너지는 원인으로서는 발열량이 커진 경우와 방열이 방해된 경우가 있다.
(2) 안전기구 전열기에 내장되어 있는 안전기구로서는 온도조절기로 대표되는 온도제어장치, 온도퓨즈, 전도 안전스위치 등을 들을 수 있지만, 최근에는 자기온도 제어기능을 가지는 세라믹 발열체를 사용한 것,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온도제어하는 방식의 기기가 많아지고 있다. 온도제어장치는 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고 과열보호를 원래의 목적으로 한 안전장치가 아니다. 그러나, 이 장치에 고장 및 기능장해가 생기면 안전영역내에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열평형이 보장되지 않고, 그것부터 안전기구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온도 퓨즈는 발열회로에 직열로 들어가 있으므로 온도가 일정치를 넘는 경우에 이것이 용단되어 발열체의 회로를 차단하여 과열을 막는 것이다. 전류 퓨즈를 철사 등으로 대용하였기 때문에 과전류에 용단되지 않아 화재로 되는 경우와 설계 잘못으로 온풍히터의 송풍회로에 이것을 넣었기 때문에 송풍기만이 정지하고 소손사고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전도 안전스위치란 전기스토브 등 이동발열기기의 밑바닥에 전원스위치와 직렬로 조합한 스위치로 통상은 기기의 무게로 접점이 연결되지만, 넘어지면 스프링(spring)작용에 의해 회로를 차단하는 구조인 것이다. 밑바닥을 위로 띄워 쓰면 통전도지 않기 때문에 이 스위치를 비닐 테이프 등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넘어졌을 때 스위치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화재로 되는 경우도 있다.
(3) 감식 요령 기기에 통전되어 있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우선 입증할 필요가 있다. 코드와 콘센트의 접속 유무, 기구 스위치의 ON-OFF, 기기회로의 전기적 용흔의 유무 등으로부터 판단한다. 출화의 요인으로는 방사열과 전도열에 의해서 과열 출화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무염착화의 출화형태를 갖는 것도 있다. 또한, 기기와 착화물과의 위치관계에서 출화의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실증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기기의 사용환경, 사용조건, 통전시간, 착화물의 재질과 위치 등을 면멸히 조사할 필요가 있으면 이것을 바탕으로 재현실험에 의해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또한, 이것에 기기의 구조, 안전장치의 기능과 작동조건을 충분히 이해하여 놓을 필요가 있다. 특히, 안전장치에 대해서는 열화 및 비전문가수리 등에 의해서 기능이 정지하기도 하고 본래의 것과는 다른 재질의 것이 취부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점에 주의하여 검증한다.
|